UI Global Invalidation

UI 최적화를 위해서 Invalidation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두가지 방법을 테스트해보았는데,

  1. GlobalInvalidation활성화

Slate.EnableGlobalInvalidation 1 Console Command로 실행하였으며 ​SlateDebugger.InvalidationRoot.Start 로 활성화 됨을 확인했습니다.

​Windows Build version에서 약 50%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습니다.

이 때는 별 다른 처리 없이도 UI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동작했습니다 (위젯 내 텍스트 변경 및 특정 이미지 visibility)

  1. 부분적으로 invalidBox 적용

부분적으로 invalidBox를 기존 UI 에 Wraping 했습니다.

이때는 InvalidateCache(); 함수를 별도로 호출하지 않으면 UI가 업데이트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두 가지 방법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이고, 어떤 방법을 더 안정성 높은 것으로 권장하나요?

그리고, EnableGlobalInvalidation을 콘솔명령어가 아닌 디폴트로 활성화 시키고자 한다면 어떻게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 InvalidationBox

내부에 포함된 모든 위젯과 해당 위젯의 계층구조 내 자손을 모두 처리하며 특정 위젯 영역에 InvalidationSystem을 적용합니다.

  • GlobalInvalidation

SWindow를 InvalidationBox로 감싸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며 이는 모든 위젯에 InvalidationSystem이 적용됨을 의미합니다.

GlobalInvalidation과 개별 InvalidationBox 중 어느 것이 더 유리하고 안정적인지는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UI가 전체적으로 레이아웃 변경과 같은 CPU 비용이 높은 InvalidationTrigger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

개별 InvalidationBox를 선택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반면, UI가 대부분 정적이고 일부 영역에서만 InvalidationTrigger가 발생한다면

GlobalInvalidation을 활성화하고 해당 영역만 Volatile 처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GlobalInvalidation은 전역적으로 관리되며 사용자 위젯 내부의 InvalidationBox를 비활성화합니다.

따라서 세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InvalidationBox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젝트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InvalidationBox를 적용하였을 때, 구현하신 UI에서 별도의 함수를 호출하지 않으면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현상은 적절한 Invalidation이 Trigger되지 않아서 발생한 상황으로 보이며, 아래 문서의 Invalidation 동작 방식과 Invalidation 타입을 살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언리얼 엔진 슬레이트 및 UMG의 인밸리데이션 | 언리얼 엔진 5.6 문서 | Epic Developer Community

또한 일부 코어 위젯에서는 특정 프로퍼티 변경시 InvalidateLayoutandVolatility가 자동으로 호출되고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 수동으로 자손 노드를 무효화 시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age Removed]

언리얼 엔진에서 인밸리데이션 박스 사용하기 | 언리얼 엔진 5.6 문서 | Epic Developer Community

마지막으로 EnableGlobalInvalidation을 자동으로 활성화 시키려면 DefaultEngine.ini 파일에 아래와 같은 구문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ConsoleVariables] Slate.EnableGlobalInvalidation=1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GlobalInvaidation을 선택해서 사용 중입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습니다.

1 )TextBlock의 글자가 길어지는 경우 LayOut에 대한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음

예) FullScreen - TextBloock(99999):: Center Layout

9999의 글자가 길어지는 경우 FullScreen에서 TextBlock의 Center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이 경우는 InvalidateLayout 을 직접호출하여 해결하였습니다.

2) ScaleBox-ListView의 조합으로 동적 스케일링되는 경우

ListView안에 표시되는 위젯들이 제대로 그려지지 않고 주로 첫번째 위젯만 표시됩니다.

이 경우는 InvalidateLayout, paint, volatile설정 및 ForeceLayoutPrepass 를 설정해도 모두 그려지지 않았습니다.

적절한 해결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GlobalInvalidation을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제시해주신 환경으로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지만,

말씀하신 문제점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위젯의 계층 구조나, InvalidateLayout 함수를 호출하는 대상에 의해 결과가 다르게 발생할 수 있으며

문제가 재현되는 샘플 프로젝트를 제공해 주시면 정확한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추가로, InvalidateLayoutAndVolatility() 함수가 기본적으로 엔진에서 호출되는 곳은

PanelWidget

  1. RemoveChildAt
  2. AddChild
  3. ShiftChild

CommonUI - CommonActivatableWidgetContainer

  1. HandleActiveIndexChanged

이며 이를 활용하신다면, 조금 더 간편하게 구현이 가능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